광고

서양문화와 불교-㉘ 중국 한 나라 사서,《후한서》에 기록된 로마(대진)

보검 이치란 스님 | 기사입력 2021/07/05 [08:09]
한나라 사신 로마제국 정보 듣고, 중국과 비슷한 나라로 여겨

서양문화와 불교-㉘ 중국 한 나라 사서,《후한서》에 기록된 로마(대진)

한나라 사신 로마제국 정보 듣고, 중국과 비슷한 나라로 여겨

보검 이치란 스님 | 입력 : 2021/07/05 [08:09]

한나라 사신 로마제국 정보 듣고, 중국과 비슷한 나라로 여겨

대진(大秦)으로 명명하고 교류 원했으나 직접 가보지는 못해

 

현재 세계불교 전통은 3대 패밀리로 나뉘어 져 있다. 동남아시아의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과 스리랑카는 상좌부라고 하는 테라와다(Theravada) 전통, 티베트 몽골 라다크 부탄 네팔 시킴 등은 밀교인 금강승(바즈라야나, Vajrayana) 전통을 따르고 있다. 동아시아인 중국 한국 일본은 이른바 대승불교(마하야나, Mahayana)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베트남 같은 경우에는 마하야나와 테라와다가 공존하는 불교이다. 이밖에 인도, 방글라데시는 상좌부 전통을 따르고 있고, 인도네시아도 상좌부와 마하야나가 공존하는 형국이다. 말레이시아도 상좌부와 마하야나가 공존하고 있다. 

▲ 서양불자들이 불교명상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본래 모습이 무엇인지를 찾고 있다.     

 

중국 한국 일본 대만 베트남은 대승불교인 마하야나라고 하지만, 일본 같은 경우에는 종파 불교화 되어 있고, 한국불교도 통불교라고 하지만, 서서히 종파불교양상으로 옮겨가고 있는 듯해 보인다. 상좌부나 바즈라야나 전통에 비교해서 대승불교인 마하야나는 분화되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본 주제인 서양문화 불교에 대한 담론을 하려다보니, 현대 서양불교 이전의 역사를 고대 그레코(그리스) 불교에서부터 찾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 서양불교는 테라와다, 바즈라야나와 마하야나 전통을 다 수용해서 다양한 불교가 전개되고 있다. 그런가하면 불교학(佛敎學) 연구는 세계 최고의 수준을 달리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며, 미국이나 유럽에 가서 불교학을 배워야 할 정도로 사정이 바뀌어 가고 있다. 현대 서구 불교를 리서치 하려면 그리스-로마 제국의 불교와의 교섭을 먼저 다루지 않으면 담론이 풀리지 않을 수밖에 없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동양문화의 거인 중국의 불교에 대한 관점은 무엇이었으며 인도나 중앙아시아 그리고 로마제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담론의 전개과정에서 참고가 되지 않을까 한다.

 

2천년도 넘는 역사이기에 우리는 문헌에 나타난 역사적 기록물에 의하여 옛일을 추론해 갈 수밖에 없다. 이런 맥락에서 후한서에 나타난 로마제국에 대한 중국의 인식 뿐 아니라, 당시의 세계사를 대강이나마 개관해 보자.

 

중국의 전 역사를 관통하여 기록해 놓은 서물을 이십사사(二十四史)’라고 한다. 이십사사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24종의 역사서를 통칭하여 부르고 있다. 다음 왕조에서 정사로 인정받은 것만을 모아서 정사로 편찬하여 온 것이다. 중화민국에서 원사를 고쳐 쓴 신원사또는 청나라의 역사를 엮은 청사고를 합해 이십오사라 부르기도 한다. 또는 두 책을 모두 합쳐서 이십육사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이십사사 가운데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를 통틀어 전사사(前四史)로 부른다. 이처럼 후한서는 중국 역사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 ‘서역전(西域傳)’이 실려 있는 진기환 원문 역주 후한서(十).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445)이 정리한 책이다. 다루는 시대는 25(건무 원년)부터 220(건안 25)까지의 역사이며 본기 10, 열전 80,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역전에는 17개국 정도가 소개되어 있다. 구미국, 우전국, 서야(자합국), 덕약국, 조지국, 안식국, 대진국, 대월지국, 고부국, 천축국, 동리국, 사차국, 소륵국, 언기국, 포류국, 이지국, 거사전국 등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20여 개국이 넘는다.

 

대진국(Rome)은 일명 이건(犁鞬)인데 바다 서쪽에 있어 해서국(이집트)이라고도 한다. 국토가 사방 수천 리이며 4백여 개의 성()이 있다. 소국으로 대진국에 복속한 곳이 수십 곳이다(로마제국의 속주를 의미). 돌로 성곽을 만들었고, 곳곳에 우정(우편)을 설치했으며, 집은 모두 흰색 칠을 하였다. 송백(松柏) 등 여러 수목과 백초가 자란다. 풍속은 농사에 열심이며 나무를 심고 뽕나무와 양잠을 한다. 모두 머리를 자주 깎고 수놓은 옷을 입으며 흰 천의 덮개가 있는 작은 수레를 타는데, 출입하면서 북을 치며 여러 깃발을 세운다.

 

도성은 주위가 1백여 리나 된다. 성 안에 5개의 궁이 있고, 서로 10여리 정도 떨어져 있다. 모든 궁궐은 수정 기둥이며 식기 또한 그러하다. 그 왕은 날마다 1궁을 순행하는데 정사를 돌보는 5일이면 순행을 마치게 된다. 1인이 왕의 수레를 늘 수행하며 정사에 관하여 말을 하는 자가 있으면 기록하여 주머니 속에 넣었다가 왕의 궁전에 와서 꺼내서 그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각 부서마다 문서를 관장한다. 36명의 장수가 있는데 모두 모여 국사를 논의한다. 그 왕은 정해진 사람이 아니다. 모두가 현자를 골라 내세운다. 나라에 재이(災異)나 예상치 못한 풍우가 있으면, 곧 왕을 페하고 다른 사람을 세우는데, 내쫓긴 사람은 좋아하며 축출된 것을 원망하지 않는다. 그곳 백성은 장대하고 공평 정직한 것이 중국과 닮았기에 대진(大秦 China)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로마제국에 대하여 전문(傳聞)이긴 하지만 대강 비슷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시대는 로마제국의 오현제 시대 말기쯤으로 이해하고 있다. 

▲ 유라시아 서족 끝의 대진(로마제국) 전성기 지도.   

 

▲ 유라시아 동쪽 끝 대국 중국 지도(189년경)     

 

후한서》 「서역전대진국에 대한 기록을 더 소개해 보면 그 땅에서는 금은이나 기이한 보물이 많으니 야광옥, 명월주, 산호, 호박, 유리, 주단, 공작석 등이 나온다. 금실로 수를 놓아 금실 옷과 잡색 비단을 짠다...중략. 금이나 은으로 돈을 만드는데 은전 10개가 금전 하나와 같다. 안식국이나 천축국과 바다에서 교역을 하는데 10배의 이득을 얻는다. 그 사람들은 질박 정직하며 거래에 두 값이 없다. 곡식이 늘 남아돌고 국용은 넉넉하다. 외국 사자가 그 나라에 들어가게 되면 역마를 이용하여 왕도에 들어갈 수 있고, 도착하면 금전을 지급해 준다. 그 왕은 늘 한()과 통상을 원했는데, 안식국은 한의 채색 비단을 그들과 거래하고자 해도 대진국에서 왕래를 막고 차단하여 직접 올 수가 없다.

 

환제 연희 9(서기 166), 대진왕 안돈이 보낸 사신이 일남군(현 월남국 중부지방)에 와서 상아와 서각(犀角), 대모(玳瑁)를 헌상하면서 비로소 처음 왕래하였는데. 그가 바친 헌상품은 특별한 것이 없어 대진국에 관한 전문(傳聞)이 지나친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든다.“고 하였다.

▲ 로마제국의 도로

  

로마의 도로는 고대 로마의 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로마 도로 덕분에 로마인은 군대 이동과 물자 교역, 소식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로마의 도로 체계는 5만 마일의 포장도로와 25만 마일의 길을 포괄하였다. 로마가 절정기에 이르렀을 때 도시를 중심으로 29개 정도의 거대한 군용 도로가 뻗어있었다. 도로를 놓기 위하여 언덕은 깎고 골짜기는 메웠다. 로마 제국은 372개의 거대 연결도로를 통하여 113개 속주로 구획되었다. 갈리아 한 곳만 해도 2만 천 미터의 도로가 부설되었다고 하며, 브리타니아에서는 도로 길이가 최소 4천 미터 라고 한다.

▲ 현재 남부 프랑스에 있는 퐁뒤가르 다목적 아치교. 로마시대에 쓰였으며 위에는 수도교로 사용되었고,아래는 사람들이 다녔다. 지금의 님(프랑스 남부)으로 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지었다.    

 

로마 제국은 머나먼 수원지에서 도시나 마을로 공중목욕탕, 공중화장실, 분수, 사유지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도교를 지었다. 또한 농장이나 정원에 공급되었고, 사용하고 남은 물은 하수처리를 위한 복잡한 하수도를 통해서 오수와 폐수등을 배출하였다. 언덕이 그리 넓거나 크기 않다면, 갱도를 파고 들어가 관통하는 방법을 택했고 일정한 간격으로 언덕에서 수직으로 굴을 파서 수리구멍과 환기구를 만들었다. 골짜기가 나오면 다리를 놓거나 사이펀 원리로 밑을 파고 들어갔다. 이 튼튼한 수도교는 현재도 일부 지역을 그대로 쓰이고, 유물 보호 때문에 현대식 수도관을 내부나 아래에 설치하여 지금도 시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서적을 출간하였던 적이 있는데, 기원전 1세기의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이나 프론티누스의 수도론이 대표적인 서적이고, 유명한 수도교 건축물로는 세고비아 수도교의 다리와 콘스탄티노플의 수도교가 있다.

 

후한서에서는 안식국에서 육로로 바다를 돌아 북쪽으로 가면 대진국에 이를 수 있는데 사람들의 왕래가 이어졌고 10리마다 1()이 있고 30리에 일치(一置, )가 있으며 아무런 도적이 없어 경비하지 않는다. ...중략, 또 비교(飛橋 구름다리)가 곳곳에 수백 리나 연결되어 바다 북쪽 여러 나라로 갈 수 있다.‘고 하였다. 그곳에서 나온다는 기이한 옥석이나 여러 물건은 거짓이나 괴이한 내용으로 정상이 아니기에 여기에는 적지 않는다.”고 했다.

보검<세계불교네트워크 코리아대표>

▲ 필자 보검스님이 밀양 표충사에서 태국 마하출라롱콘 불교대학 명상 교수 싸와이 비구와 함께, 옆은 내설악 백담사 기본선원 원산 스님.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