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서양문화와 불교-㉚ 중앙아시아의 찬란했던 불교 천년역사, 이슬람이 대체

보검 이치란 스님 | 기사입력 2021/07/19 [14:42]
역사의 부침 따라 종교지형도 달라져, 법륜은 굴려야 돌아가는 법

서양문화와 불교-㉚ 중앙아시아의 찬란했던 불교 천년역사, 이슬람이 대체

역사의 부침 따라 종교지형도 달라져, 법륜은 굴려야 돌아가는 법

보검 이치란 스님 | 입력 : 2021/07/19 [14:42]

역사의 부침 따라 종교지형도 달라져, 법륜은 굴려야 돌아가는 법

 

불교사적으로 본다면 중앙아시아 지역은 인도 불교를 중국에 전파해 주는데 가교역할을 하였다. 서쪽으로도 불교전파를 시도했지만, 결과적으로 기독교에 막혀 더 이상 진전되지 않았다. 그것은 기독교가 오랜 박해 끝에 로마제국의 종교가 되면서 동로마제국이라는 큰 장벽에 부딪혀 불교는 서진을 중단하고 동진을 더욱 가속하게 되었다.

▲ 투르판 화염산 근처 절벽에 위치한 베제클리크 천불동 벽화, 소그디아나 상인들이 부처님께 공양 올리는 장면.    

 

인도 불교가 아소카 대왕의 후원으로 인도 북부와 서북부를 지나서 중앙아시아 지역에 전파하게 되었고, 그리스-박트리아에서는 그리스의 헬레니즘 사상과 융합하는 혼합의 시대가 열리기도 했다. 인도 불교가 그리스 사상과 융합하면서 사상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불교는 더욱 보편성을 띠게 되었으며 유니버설 종교로 위상을 지니게 되는 변용을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 종교사상 또한 불교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중앙아시아 불교는 인도 불교나 중국적 대승불교와도 그 성격이 다른 불교였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사라진 불교가 되어 버렸다.

▲ 중앙아시아의 핵심 5개 국가와 주변국의 지도.  

 

불교가 인도에서 힌두쿠시를 넘어서 박트리아 페르시아 지중해까지 진출했지만, 그리스 본토나 로마제국에 확실하게 뿌리를 박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박트리아 인도-그리스 왕국, 쿠샨제국, 파르티아 제국 시대에는 불교가 한동안 유행했으며, 불교가 실크로드를 타고 동진하여 중국 한나라에 까지 이르게 되어서 오늘날 동아시아 불교가 형성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12세기 까지 불교는 중앙아시아의 실크로드 선상에서 활발하게 살아있는 종교로서 존재했으며, 오늘날의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과 타클라마칸의 사막 오아시스 나라에 불교가 널리 전파되었다.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으로 획득한 셀레우코스 제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영토 가운데 헬레니즘의 계승 왕국중 하나이다. 제국의 명칭은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고 원발음은 '셀류코스' 제국이다. 현재는 현대 그리스어 발음표기를 따라 '셀레우코스 제국'을 기준으로 한다. 제국의 최대 영토는 아나톨리아 중부와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투르크메니스탄, 파미르, 인더스 계곡을 포함한다. 동방 영토 대부분을 차지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계승국 중에서 가장 영토가 넓었다.

▲ 스트라본을 묘사한 16세기의 판화 

 

박트리아 왕국(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기원전 250년에서 125년까지 중앙아시아의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를 지배했던 고대 왕국이다. 기원전 180년 그리스-박트리아인들은 북인도까지 뻗어나갔으며 인도-그리스 왕국을 세웠고, 이는 기원전 10년까지 지속되었다. 박트리아 영역은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이다. 다음은 인도-그리스왕국인데 야바나 왕국이라고도 했으며 기원전 180년경에서 기원전 10년경까지 존속했다. 오늘날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북인도 서부에 존속하였던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계 인도 왕국들을 말하는데, 야바나는 고대 인도에서 그리스인들을 지칭하던 단어이다.

▲ 불교는 파미르 고원을 넘고 타클라칸 사막을 지나서 천산과 곤륜산을 따라서 돈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에우티데모스 1세는 디오도토스 2세를 몰아내고 즉위한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왕(재위: 기원전 223기원전200)이었다. 에우티데모스 1세는 마그네시아 그리스인으로 소그디아나의 총독이었으며 기원전 230년경 디오도토스 2세를 전복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의 왕국을 시작하였다. 에우티데모스의 지배권은 소그디아나로 팽창하였고 페르가나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건설된 알렉산드리아 바깥까지 진출하였다. 그리스-박트리아 왕 에우티데모스가 기원전 190년 인도로 침입하기도 하였다.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에우티데모스는 오늘날의 중국 자치구인 카슈가르시(카스시) 까지 진출, 기원전 200년경 중국 한나라와 접촉했다는 것을 기록했다. 스트라본(기원전 63~ 기원후 24년경)은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 역사가, 철학자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와 함께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뛰어난 지리학자로 일컬어진다. 소아시아에서 태어나 유럽과 이집트·리비아·아시아 등 여러 곳을 다니면서 지형·지구대·땅 위의 동물과 식물을 관찰하여 모두 17권으로 된 지리학을 만들었다.

 

초기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인도-그리스 왕국에서 불교가 전성을 이루었으나, 차츰차츰 페르시아계 나라들이 불교를 수용하고 파르티아 제국에서 불교를 번성시켰다. 또한 쿠샨제국도 불교를 국교나 다름없는 국가종교로 수용하여 제4차 경전 결집을 할 정도로 불교를 옹호했다.

▲ 로마제국 시대 초창기 실크로드     

 

이들 나라들에서 불교 공부를 한 승려들은 서쪽 로마제국 보다는 중국 한나라 제국을 향하여 법륜(法輪) 굴렸으며, 무려 천여 년 간, 카스피아 해에서 중앙 초원 지대와 사막의 오아시스를 경유하여 한나라 낙양까지 범본(산스크리트)불전을 짊어지고 파미르 고원(총령)을 넘고 타클라마칸 사막을 가로 질러서 천산과 곤륜산을 따라서 간쑤 하서회랑을 지나서 장안과 낙양에 경전을 펼쳐 놓고 한역(漢譯) 작업에 몰두하게 되었다.

▲ 돈황 막고굴에 있는 다양한 국적의 ‘실크로드의 사람들’이란 벽화.   

 

지금은 대부분 이슬람 국가가 되었지만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12세기 까지만 해도 이 지역은 불교가 주류 종교로 석권하고 있었다. 인도인 페르시아인 투르크인 그리스인 아랍인 중국인들이 뒤섞여 실크로드는 그야말로 국제 무역루트였고, 온갖 상품이 대상들의 낙타 등위에서 운반되었다. 자연스럽게 종교나 사상 등 정신적 문명이 이들과 함께 동서 교역로를 따라서 왕래했으며,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불교사상의 중국행이었다. 인도는 물론 페르시아에서 한번 걸러지진 불교 전통도 실크로드를 타고 중국에 물밀 듯이 밀려들었으며, 조로아스터 등의 페르시아적 종교사상도 불교와 혼합되어 중국에 전파되었는데, 정토사상이나 미륵사상은 조로아스터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학자들의 견해이다.

 

중앙아시아는 한 때 불교가 전성을 이루면서 불교 승려들이 어디를 가나 있었고, 때로는 인도 본토보다도 더 활발했었다. 중국의 법현 법사나 현장 삼장이 인도로 구법의 길을 지나갈 때 중앙아시아의 사막국가들은 이미 불교국가로서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고, 가는데 마다 절이며 승려들이 불경을 독송하고 있었으며, 이들 법사가 인도에 당도하기도 전에 그들은 이미 경전어(經典語)인 산스크리트어(梵語)에 능통해 있었으며 범본 원전을 독해할 수 있는 실력을 마스터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무함마드 사후, 이슬람은 신도의 장로 중에서 교통(敎統)의 후계자인 칼리파를 선출하였다. 그 후 아라비아 반도 밖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여 633~664년 시리아·이라크·북부 메소포타미아·아르메니아·이란·이집트 등에 이슬람을 전파하고 여러 곳에 기지도시를 건설하였다.

▲ 820년의 아바스 왕조(750〜1258)와 세계의 제국들: 아바스 왕조는 이슬람의 황금시대(9〜11세기)를 열었다.    

 

그 후에도 이슬람 전파 사업은 계속되어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서쪽은 북아프리카의 대서양 연안까지, 다시 711년부터는 이베리아 반도에 침입하였고, 동쪽은 중앙아시아와 인도 북서부까지 그 지배력이 미쳤다. 아바스 왕조(7501258) 초기 100년간은 칼리파 정권의 전성기였는데, 그 후 이베리아는 우마이야가() 일파에 의하여 독립하고, 이어서 모로코·튀니스·중앙아시아·이란 동부·이집트 등에도 독립정권이 출현하여 칼리파의 직할지는 점차 축소되었다.

 

10세기에 들어서자 921년 이후 볼가강 중류의 불가르족(), 이어서 960년 이래 톈산 산맥 남북로의 투르크족이 모두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그때까지 아랍인, 이어서 이란인이 중심이었던 이슬람 세계는 이 무렵부터 투르크의 패권 밑으로 옮겨졌고, 10세기 말부터는 투르크계 가즈나 왕조의 마호무드왕 등 이슬람교에서 투르크계가 패권을 잡고 확고한 기반에 놓였다.

 

1071년 아르메니아의 만지케르트 싸움에서 셀주크 투르크군은 비잔틴군을 격파하였다. 이 때부터 서아시아의 이슬람화·투르크화가 시작되었고, 그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것이 11세기 말~13세기 말의 거의 2세기에 걸친 십자군 전쟁이다.

 

이와는 달리 셀주크 제국과 교체된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1453년에는 콘스탄티노플을 공략, 비잔티움 제국(3301453)을 멸망시켰다. 또 인도에 세력을 부식한 무슬림은 이곳을 기지로 하여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 방면에 선교를 하여 동남아시아의 이슬람화는 15~16세기에 광범한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보검<세계불교네트워크 코리아 대표>

▲ 필자 보검스님이 용인 와우정사 주지 해곡스님을 방문, 외국인 방문객들의 현황을 들었다. 옆은 뉴욕 월간 미주 현대불교 김형근 발행인.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