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서울시는 이미 고령사회, 1005만명 중 65세 이상 14.4%

이준혁 기자 | 기사입력 2019/09/18 [15:10]
심각한 저출산과 가파른 고령화로 2026년엔 ‘초고령 사회’

서울시는 이미 고령사회, 1005만명 중 65세 이상 14.4%

심각한 저출산과 가파른 고령화로 2026년엔 ‘초고령 사회’

이준혁 기자 | 입력 : 2019/09/18 [15:10]

서울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14.4%를 차지해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서울 인구는 10049607명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141만 명으로 14.4%(전국 평균 14.8%)이다. 2005년 노인 비율이 7%를 넘으면서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13년 만에 고령사회가 됐다. 이 추세로 가면 2026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열번째로 고령사회가 됐다. 전남의 고령화율은 21.9%로 이미 초고령사회가 됐다. 세종시가 9.3%, 울산이 10.7%, 경기도가 11.9% 등으로 상대적으로 젊다.

 

서울시는 서울인구통계 분석과 인구 변화가 서울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서울시=천만 도시의 등식이 깨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최근 3년간 전출자 수에서 전입자 수를 뺀 인구가 연 평균 8만명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인구가 1,000만명 이하가 될 것으로 내다 봤다. 서울시 인구는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1,0286,503명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고, 1992년에는 1,097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서울시 인구는 2000(1,0373,234)을 제외하면 계속 하락하다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7년간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2010년 이후부터는 다시 지속적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내국인 인구는 2016년 이미 1,000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 반면 외국인은 199545,000여명에서 지난해 284,000여명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총인구에 포함된 외국인 수가 그나마 서울시 인구 1,000만명선을 떠받치고 있었지만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그나마 외국인 부양도 효력이 사라진다는 의미다.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서울 인구 감소의 최대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이다.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간 인구가 368,536, 경기도에서 서울로 온 인구가 233,320명으로 서울 입장에서 순전출은 135,216명이었다. 이는 집값 급등에 따라 신혼부부 등 젊은 층들이 서울을 벗어나는 게 큰 이유로 풀이된다. 서울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로 25,321명이었다.

 

서울의 꾸준한 인구 감소에 대해 서울시민 39.6%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답했다. 37.9%부정적’, 22.5%긍정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과 주거(43.1%),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60.9%)와 복지(59.4%) 등을 꼽았다.

 

65세 이상 인구가 늘고 14세 이하 인구는 줄어들면서 생산 가능 연령층인 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 부양비는 1998201331%대를 유지하다가 점차 오르기 시작해 201834.1%을 기록했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의 자연증가는 1992145,000여명에서 지난해 13,000여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