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국보 제46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 보존처리

이광열 기자 | 기사입력 2020/06/19 [15:56]
훈증처리→진단→해체→수리...7년간 작업 수행 예정

국보 제46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 보존처리

훈증처리→진단→해체→수리...7년간 작업 수행 예정

이광열 기자 | 입력 : 2020/06/19 [15:56]
▲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원들이 부석사 조사당 벽화 표면의 보양 작업을 벌이는 모습.  

 

우리나라에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사찰벽화인 국보 제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보존처리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18일 이같이 밝히고 작업에 착수했다.

 

경북 영주시에 있는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의 초상을 모신 국보 제19호 부석사 조사당의 안쪽 벽면에 그려진 불교 회화로 목재 골조 위에 흙벽을 만들어 다양한 안료로 채색한 그림이다. 벽화는 조사당이 건립될 당시인 고려 우왕 3, 1377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벽화에는 제석천과 사천왕, 범천이 6폭으로 나누어 그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 대표적인 벽화로 평가받고 있다.

 

이 벽화는 일제강점기인 1916년 경 조사당에서 해체·분리됐고 6폭의 벽화는 각각 벽체 뒷면 일부가 제거되고 석고로 보강되어 나무보호틀에 담겼다. 표면의 균열부위에도 석고로 보존처리 된 바 있으며 이후 국보 제18호인 부석사 무량수전과 보장각을 거쳐 지금까지는 성보박물관에 보관·전시됐다.

 

현재는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보존처리 재료인 석고로 인해 백색 오염이 벽화면 전반에 발생했으며 과거 보존처리에 사용된 재료가 열화되면서 채색층의 박리 및 박락과 표면 오염도 관찰되는 상태다. 또 벽체 분리 전부터 가로방향 균열이 발생하여 일제강점기에 이를 석고로 보강했으나 현재 보강부 주변으로 추가적인 균열과 탈락이 발생하고 있어 구조적인 손상도 심화되고 있다.

▲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던 국보 제46호 부석사 조사당 벽화  

 

문화재청은 지난해 실시한 국가지정문화재 정기조사에서 벽화의 보존처리 필요성이 제기됐고 올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치면서 전면 보존처리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는 지난 2일부터 벽화 표면 보양작업을 시작해 벽화 6점을 포장했으며 17일과 18일 양일에 거쳐 대전에 있는 국립문화재연구소로 운송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먼저 벽화의 상태를 정밀진단하고 비파괴 구조진단을 시행하여 손상 진행 현황과 그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또 과거의 보수재료들을 일부 제거하고, 벽화를 재처리하기 위한 재료 연구와 보존처리를 함께 진행하게 되며 아울러 고려 후기 벽체의 구조와 벽화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보존처리와 연구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총 7년간 수행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심각하게 손상된 부석사 조사당 벽화가 본래의 모습을 되찾고 안정된 상태로 보존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와 보존처리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과정에서 도출되는 연구성과는 국민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모바일 상단 구글 배너